안감을 밝은 연두빛으로 두고 진한 초록빛 원단으로 만들어진 저고리입니다.
안감의 색상 덕분에, 차분해 보이지만 움직일 때마다
얼핏얼핏 보이는 밝은 연두빛이 아름다운 색상의 저고리가 만들어졌답니다.
여기에 넓고 긴 고름을 두르니 아주 멋쟁이 한복 한 벌이 구성되었죠.
고름이 이렇게 길고 넓은 건 조선 후기 한복 양식입니다.
조선 후기, 개화기에 가까워질수록 여인네들의 한복 고름의 너비는 점점 넓어지고
그 길이 또한 길어졌거든요.
반면 조선 후기 이전에는 저고리 옷고름이 훨씬 짧고 너비도 좁았죠.
그 시대의 유행따라 옷고름도 저고리 등길이도 다양했답니다.
이
이렇게 멋들어진 배색의 한복엔 고상한 천연 비취 노리개를 달아 주면 어떨까요.
아니면 노리개 대신 초록빛 추만옥(추마노) 반지와 귀걸이를 달아볼까나요.
속이 보이지 않을 것 처럼 깊은 빛깔의- 깔끔한 모양으로 만들어진 추만옥 반지와 귀걸이가
고상하면서도 개성있는 배색의 저고리, 밝은 색상의 치마와 아주 잘 어우러질 것 같네요.
악세사리를 클로즈업하니 배색이 살짝 어두운 계열인 듯 보이지만,
아래의 밝은 연두빛 치마를 생각하면 전혀 어둡지 않은 배색이죠?
한복을 실제로 입게 되면 치마의 면적이 상당히 넓으니깐요.
멋을 아는, 멋진 손님분이 맞추신 한복이라, 입으신 모습이 상당히 기대됩니다.
고름이 좁은 것이 조선전기 양식이었네요!! 옹 저는 전기것이 더이쁜것같아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