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리미한복/가을, 겨울 한복

밝은 옥색 저고리에 연분홍 치마, 밝고 환한 이미지의 양단 신부한복


새하얀 손만 보아도 이 한복과 딱 맞는 주인이구나를 실감할 수 있는 사진으로 옷 소개를 시작합니다. 

연색 한복의 가장 큰 희소성은 아마도 이 젊은 느낌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무래도 이 때, 이 나이가 아니면 다시 입기 힘든 옷 느낌이 강한 이유겠죠.


물론 그와 별개로 평소의 취향과 본인의 이미지에 맞아서 연한 색상을 좋아하시는 분들도 계시고요.

연한 색상이 가진 청아하고 수줍은 느낌 또한 진색에서 내기 힘든 이미지가 있고요. 





가봉 첫날인지라 신부님 소매와 저고리 아랫단 등 옷의 곳곳이 다 옷핀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한복은 우리가 일상에서 입는 양장과 달리 매우 평면적인 옷인데다가, 

세대가 지나면서 동양인의 체형도 점점 서구화되어서 가봉 없이는 딱 들어맞는 모양을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적게는 한 번, 많게는 두세번의 가봉을 필수로 거칩니다.

신랑님과 신부님 모두 수정을 위해 곳곳에 찔러넣은 옷핀이 가득이지만, 흥겹게 촬영을 허락해 주셨습니다. 


참 예쁘죠? 




연분홍과 연옥색이 만나 그야말로 샤방샤방하고 밝은 이미지를 뿜어냅니다.

양단이 주는 광택이 없었다면 '평범한 샤방샤방'이었겠지만, 

옷 전체를 감싸는 이 광택이 있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샤방샤방'이 되었습니다.






이 밝고 여린 색과 진한 광택이 만나서 주는 느낌은 양단으로밖엔 도저히 낼 수 없는 분위기입니다.

'영롱하다'는 말을 시각적으로 빌려 쓴다면 이런 느낌에 쓰고 싶어요. 





넓은 치마 폭이 주는 부피감과 저고리와의 비율을 대비했을 때 치마가 차지하는 부분은 이렇게나 크답니다.

때로는 치마를 강렬하게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저고리는 슬며시 받쳐 주고, 

때로는 저고리를 주인공으로 내보이고 치마는 그를 받쳐주는 쪽으로 디자인하기도 하는데요.


지금 같은 경우는 색상과 원단 모두 치마와 저고리의 비중을 큰 차이 없이 가져가기 때문에 

옷 전체의 느낌에 초점을 맞춰 진행합니다. 저고리의 고름 색이 다르지 않은 것, 특별히 안고름을 넣거나 하지 않은 것 모두 그러한 탓이랍니다. 지금 가진 두 원단만으로도 옷이 영롱하게 빛나기 때문에 시선을 분산시킬 필요가 없거든요. 






밝은 빛이 영롱하게 빛나는, 환한 이미지의 신부한복과 신랑한복 두 벌이 

이렇게 또 저희 품을 떠나 손님의 품으로 집을 찾아 떠났습니다.